슛의 발전사
3점슛의 등장
이러한 점프슛의 득점방식은 3점슛이 농구에 도입되면서 더욱 다양해지고 재미를 붙여간다. 3점슛이 처음 등장했을 때, 언론과 농구인들은 ‘단신자의 비기’라며, 작은 선수들이 장신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무기라고 평했다. 그러나 FIBA가 개최하는 국제대회에 3점슛이 처음 도입된 지 30여 년이 흐른 지금, 이제는 누구도 3점슛을 작은 선수들만의 무기로 보지 않는다.
3점슛은 1984년 FIBA가 국제적으로 채택했고, 국내에서는 농구대잔치부터 도입됐다. 그러나 3점슛을 처음으로 시도한건 FIBA가 아니었다. 3점슛이 시도된 첫 경기는 1945년 2월 7일, 콜롬비아 대학과 포드햄 대학 간의 경기였다. 이 경기는 맨해튼의 모닝사이드 하이츠 짐Morningside Heights Gym에서 열렸고, 기술위원회 위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경기에 사용된 규칙은 특이했다. 3점슛 거리라 해도 정면에서 던지면 2점으로 처리했고, 측면과 코너에서 던지면 3점으로 인정했다. 이 경기서 콜롬비아는 73:58로 승리했고, 양 팀은 도합 20개의 3점슛을 던졌다. 팬들의 반응은 좋았다. 점수가 제법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뉴욕 타임즈의 기사에 따르면 코치나 관계자들은 복잡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결국 3점슛은 단 한 경기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된 후 사라졌다. 이후 3점슛은 1961년에 NBA의 라이벌 단체였던 ABA(American Basketball League)가 흥행을 위해 도입했고, 이어 이스턴 프로리그(Easter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가 63/64시즌에 채택했다. NBA가 공식적으로 도입한 것은 79/80시즌부터였고, NCAA는 1980년이었다. 댈러스에서 3점슛 도입 찬반 투표를 했는데 이를 가장 강력하게 주장한 이는 고 에드 스타이즈 박사다. 미국 명예의 전당에 헌액 된 그는 ‘3점슛의 아버지’라 불리며, 미국 농구계에서 한때 금지된 덩크를 부활시킨 인물로도 유명하다.
3점슛? 글쎄?
한국에선 3점슛 도입에 대한 찬반이 엇갈렸다. 자칫 ‘단신들의 만병통치약’이 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많은 농구인들이 그 당시 분위기에 대해 한결 같은 증언을 남겼다. 국가대표 감독이었던 최인선은 “선수들이 오빠부대의 함성에 젖어들까 걱정을 많이 했다. 우리는 어떻게든 팀 동료들이 이해하지 않는 슛은 허용하지 않는 쪽으로 나아갔다”고 회상한다. 그러나 당시 선수들은 찬성했다. 그들에겐 ‘3점슛’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고마웠다. 단 몇 센티미터 뒤에서 던지면 1점을 더 얻을 수 있었으니 말이다. 한국 최고 슈터로 불린 이충희도 그 중 한 명이었다. “작은 선수들에게는 분명 바람직한 변화였다. 처음 3점슛 얘기를 들었을 때 중국과 맞설 때 편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3점슛은 신장이 작은 선수들에게는 혜택이었다.” 일각에선 3점슛 거리가 멀어 선수들이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농구대잔치부터 정식 도입된 3점슛은 제법 괜찮은 적중률을 자랑하면서 팬들을 끌어 모았다. 멀리서 던져 깨끗하게 들어갈 때의 그 쾌감, 경기 막판에 점수 차를 뒤집을 수 있는 짜릿함 등이 농구에 새로운 재미를 더한 것이다.
패러다임의 변화
하지만 3점슛이 완벽한 무기로 자리를 잡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처음에는 3점슛에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았다. 거리가 멀고 확률적으로 성공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승부처에 던지는 것을 선호했다.
3점슛이 전술적인 면에서 완전히 자리 잡은 계기가 있다. 바로 88서울올림픽이다. 1988년 올림픽은 미국 농구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 대회다. 바로 미국이 소련에게 82:76으로 패하면서 동메달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소련의 리마스 쿠르티나이티스(196cm)는 3점슛 10개를 던져 4개를 적중시키면서 미국을 몰아냈다. 미국은 이 대회를 계기로 프로농구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을 추진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드림팀’을 출전시켜 농구사에 획을 그었다. 또 외곽슛에서도 더욱 정교한 전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988년 올림픽에서 미국은 경기당 5개의 3점슛을 던져 2개 정도를 성공시킨 반면, 상대팀들은 15개의 3점슛을 던져 5-6개의 3점슛을 성공시켰다) 한국 농구계도 3점슛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다. “장신자들은 골밑 위주로 경기를 한다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소련 선수들의 외곽슛에 뒤통수를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아마 미국도 그랬을 것이다. 미국은 그때만 해도 3점슛을 많이 던지지 않았으니까” 최인선의 말이다. 3점슛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감독들에게는 새로운 전술이 생기고, 선수들에게는 새로운 기술이 생겼다. 3점슛 라인 안과 밖의 움직임에서도 변화가 생겼다. 돌파가 뛰어난 선수는 돌파하면서 밖으로 빼주고, 센터가 좋은 팀은 포스트에서 밖으로 빼주는 킥아웃 플레이가 생겨났다. 한국에서는 센터플레이를 할 줄 아는 외국인선수가 등장하면서 킥아웃 플레이가 더욱 활발해졌다.
막슛을 던진 사람들
선수들의 키는 커지고, 수비가 거칠어지면서 키가 작은 선수들은 살아남기 위한 무기를 개발해야 했다. 특히 한 시즌에 3-4번씩 경기를 해야 하는 리그전 경기에서는 금방 수를 읽히기 때문에 늘 절차탁마하는 것이 프로선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다. 그런 의미에서 키가 작은 선수들이 장신 선수들을 제치고 득점을 올리기 위해 내세운 득점 기술이 바로 플로터Floater다. 플로터란 레이업처럼 올라가다가 마치 훅슛처럼 한 손으로 휙 던져 넣는 기술이다. 플로터는 정석적인 자세가 없어 국내에서는 ‘막슛’으로 불리기도 하는 기술이다. 사실 플로터는 사용빈도에 비해 정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다. 농구 코치들조차도 누가 가장 먼저 플로터를 사용했는지, 누가 플로터란 이름을 붙였는지 모르며, 그 어느 교본에도 ‘플로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심지어 슈팅 교본에도 플로터는 나와 있지 않다. ‘정석적’인 폼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0~1970년대 몇몇 선수들이 오버핸드 레이업 스타일의 플로터를 사용한 것으로 문헌에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짐작해볼 때, 플로터의 역사가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최근 20년에 걸쳐 리너 Leaner(레이업처럼 떴다가 수비자에 기대며 던지는 슛), 스쿱슛Scoop Shot(플로터와는 반대로 볼링을 할 때의 자세처럼 국자 모양처럼 아래에서 위로 공을 올리는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선수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이 ‘정통’이 아닌 아류로 불리고 있다. 어설프게 사용하면 성공률이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키가 크지 않은 아시아 선수들이 국제대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칙 개인기를 계속 연마할 필요가 있다.
키 큰 선수들의 비기? 훅과 뱅크슛
작은 선수들에게 플로터 같은 무기가 있다면, 키가 큰 선수들에게는 훅슛Hook Shot이 있다. 영어로 ‘훅’은 갈고리를 뜻한다. 훅슛도 갈고리 모양처럼 높은 포물선을 그리며 던지는 슛으로 비록 손목을 이용하는 슛이긴 하지만 키가 크고 팔이 길수록 유리하다. 훅슛은 오히려 점프슛보다도 먼저 등장한 기술이다. 조지 마이칸(1950년대), 윌트 체임벌린과 빌 러셀(1960년대), 빌 월튼과 카림 압둘자바(1970~1980년대) 등에 의해 발전해 왔다. 특히 218cm의 압둘자바가 던진 훅은 ‘스카이 훅Sky Hook Shot’이라고도 불렸는데 성공률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그는 이 훅 슛을 발판으로 통산 38,387 득점을 기록했다. 한국에서는 현재 프로농구 최고령 선수인 이창수(울산 모비스)와 2007년 은퇴한 표필상이 간혹 사용해왔다.
뱅크슛은 역사만 놓고 보면 점프슛보다도 앞서고 있다. 뱅크슛이란 백보드에 맞춰 넣는 슛이다. FIBA이 주관하는 정식 농구경기에 철제 백보드가 처음 설치된 것이 1896년이다. 이것이 목재로 바뀐 것이 1910년이었으니 이때부터 뱅크슛이 사용되었을 것이란 추측이 있다. 용어 자체가 뱅크슛은 아닐지라도 말이다. 오늘날 우리가 농구를 배울 때도 먼저 백보드에 맞춰서 성공시키는 방법부터 배우고, 레이업을 배울 때도 먼저 백보드를 맞추도록 배운다. 가장 이상적인 각도는 45도다. 정면에서 일부로 림을 맞춰 넣기란 대단히 어렵다. 조금만 각이 삐뚤어져도 크게 튕겨 나오기 때문이다. 게다가 45도가 시야에서 가장 잘 보인다. 오늘날 NBA에서는 팀 던컨의 주 무기다.
슛 하나만 봐도 농구 기술의 발전사는 방대하다. 농구 경기를 보면서 슛을 던질 때의 모습뿐만 아니라, 수비자를 따돌리고 공을 잡기까지의 과정, 공을 잡은 뒤에 수비자를 따돌리는 여러 기술들을 눈여겨본다면 농구를 관람할 때든 직접 할 때 든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 : 농구경기의 발전
답글 남기기